쇼토쿠 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574년에 태어나 622년에 사망했다. 그는 비다쓰 천황의 아들이자 스이코 천황의 섭정으로, 일본 고대 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쇼토쿠 태자는 불교를 장려하고 17조 헌법을 제정했으며, 수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 관계를 맺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여러 사람의 말을 동시에 이해했다는 일화로 유명하며, 지폐 도안으로도 사용될 만큼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업적과 생애에 대해서는 과장, 허구 논란이 존재하며, 관련 연구와 평가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4년 출생 - 공영달
공영달은 북제,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활동한 유학자로서, 공자의 32대손이며, 『오경정의』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세우고 유교 학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호류지 - 백제관음상
7세기 초 백제에서 제작되어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관음상은 녹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가늘고 긴 신체와 섬세한 조각이 특징으로, 현재 일본 호류지에 소장되어 있다. - 호류지 - 호류사 지역의 불교기념물
호류사 지역의 불교 기념물은 나라현의 호류지와 호키지를 포함하는 불교 건축물과 유물로, 7세기 후반에 창건된 금당, 오중탑 등을 포함하는 고대 일본 불교 건축의 정수이며, 국보 및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일본의 황태자 - 사와라 친왕
사와라 친왕은 나라 시대의 황족이자 간무 천황의 동생으로, 후지와라노 타네츠구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중 사망 후 스도 천황으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미스터리로 남아 원령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일본의 황태자 - 구사카베노 황자
덴무 천황과 지토 천황 사이에서 태어난 구사카베노 황자는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여 즉위하지 못했고, 사후 그의 아들인 가루 황자가 몬무 천황으로 즉위하며 황통을 이었다.
쇼토쿠 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쇼토쿠 태자 |
다른 이름 | 우마야도 황자 가미쓰미야 황자 도요사토미미 황자 |
로마자 표기 | Shōtoku Taishi |
한자 표기 | 聖徳太子 |
출생 | 574년 2월 7일 |
사망 | 622년 4월 8일 |
출생지 | (정보 없음) |
사망지 | (정보 없음) |
왕가 | 고시쓰 |
배우자 | 우지노시쓰카히 도지코노이라쓰메 오치노이라쓰메 |
자녀 | 야마시로 황자 |
아버지 | 요메이 천황 |
어머니 | 아나호베노하시히토 |
묘소 | 이소나가 무덤 (에이후쿠지 북쪽 고분) |
정치 | |
직책 | 야마토의 섭정 |
재위 기간 | 593년 - 622년 |
군주 | 스이코 천황 |
정치 체제 | 섭정 |
칭호 | |
시호 | 쇼토쿠 태자 |
별칭 | 우마야도 왕 도요사토미미 가미쓰미야 왕 가미쓰미야노우마야도노도요사토미미노미코토 우마야도노도요사토미미노미코 호슈 왕 도요사토미미 성 도쿠토요사토미미 호다이오 가미쓰미야타이시쇼토쿠 황 우마야도도요사토미미쇼토쿠 호왕 가미쓰미야우마야도 우마야도 황태자 다리시히코 |
가족 관계 | |
형제 | 다메 황자 도요사토미미 황자 다지마 황자 구메 황자 우에쿠리 황자 이바라다 황자 스가테히메 황녀 (동모 이부 동생) 사토미 여왕 |
배우자 | 우도노가이타코 황녀 도지코노 이라쓰메 다치바나노 오이라쓰메 젠노 오이라쓰메 |
자녀 | 야마시로노 오에노 왕 다카라 왕 히오키 왕 시라카베베 왕 나가타니 왕 미에다 왕 이토시코 왕 마로코 왕 가타오카 여왕 데시마 여왕 쓰키시네 여왕 구와타 여왕 하토리 여왕 우마야코 여왕 |
종교 | |
종교 | 불교 |
2. 호칭
쇼토쿠 태자의 본명은 '우마야도(厩戸)'이며, 마구간이라는 뜻이다. 마구간 앞에서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16] 다른 이름으로는 도요토미미(豊聡耳, 또는 도요사토미미), 가미쓰미야 왕(上宮王) 등이 있었다. 《고사기》(712년 성립)에는 우에쓰미야노우마야도노도요토미미노미코토(上宮之厩戸豊聡耳命일본어)로, 《일본서기》(720년 편찬)에는 우마야도노미코 외에도 도요토미미노쇼토쿠(豊耳聡聖徳), 도요토미미노노리노오키미(豊聡耳法大王일본어), 노리노우시노오키미(法主王일본어)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쇼토쿠 태자'라는 호칭은 사후 10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난 751년에 편찬된 《회풍조(懐風藻)》에서 처음 등장한다.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여러 사료에서도 '쇼토쿠 태자'라는 호칭이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일본 역사 교과서에서는 생전의 호칭이 아니라는 이유로 '우마야도 왕(쇼토쿠 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2. 1. 지폐에 실린 초상화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는 1930년 일본은행권 지폐 도안으로 처음 등장한 이후 총 7번 지폐 도안으로 사용되었다.[18] 1958년부터 1984년까지 발행된 10,000엔권 지폐는 '고액 지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졌다. 이 초상화는 태자를 그린 그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당본어영에서 따온 것이다.[46] 1948년에는 500엔 수입인지에도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가 사용되었다.3. 생애
비다쓰 천황 3년(574년), 긴메이 천황의 아들인 다치바나노도요히 황자와 아나호베노 하시히토 황녀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소가노 이나메의 딸로, 소가씨와 깊은 혈연관계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불교를 존경하여 여러 일화와 전설을 남겼다.
585년 아버지 요메이 천황이 즉위할 무렵, 불교 수용을 놓고 숭불파인 소가노 우마코와 배불파 모노노베노 모리야가 격렬하게 대립했다. 587년 요메이 천황 사후, 소가노 우마코는 스슌 천황을 옹립했으나, 592년 그를 암살하고 스이코 천황을 즉위시켰다. 593년 스이코 천황 원년에 우마야도 왕자는 황태자가 되어 섭정으로서 정치에 참여했다.[55]
594년, 불교 융성의 조를 발표하고 고구려 승려 혜자와 백제 승려 혜총을 초빙하여 불교를 장려했다.[57][58] 601년, 이카루가노미야를 지었고, 598년에는 호류사를 건립하였다.
600년과 602년 두 차례 신라 공격을 시도했으나, 602년에는 구메 황자의 죽음 등으로 중단되었다.
603년 12월, 재능을 기준으로 인재를 등용하는 관위 12계를 제정하여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확립하고자 했다. 605년, 이카루가노미야로 거처를 옮겼다.
620년, 우마코와 함께 《국기》, 《천황기》 등의 역사서를 편찬했다.
622년, 이카루가노미야에서 사망했다.[59]
3. 1. 17조 헌법
聖徳太子일본어가 604년에 제정한 17조 헌법은 일본 최초의 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헌법은 호족들에게 신하로서 지켜야 할 마음가짐을 가르치고, 천황 중심의 국가 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55]17조 헌법은 유교와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사람들 간의 화합을 중시하는 '화(和)'의 정신을 강조하고, 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를 공경할 것을 명시하였다.[55]
17조 헌법은 일본서기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여름 4월 병인 초하루 무진에 황태자가 친히 처음으로 헌법 17조를 짓다(夏四月 丙寅朔戊辰 皇太子親肇作憲法十七條)"라는 구절을 통해 쇼토쿠 태자가 직접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55]
현대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17조 헌법은 유교적 정치 이념이 일본 고대 국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될 수 있다.
3. 2. 견수사 파견
607년, 오노노 이모코를 수나라에 파견하여 국서를 전달했다. 국서에는 "해 뜨는 곳의 천자가 해 지는 곳의 천자에게 글을 보낸다"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수 양제의 분노를 샀다고 전해진다.[11][12][13] 이 사건은 일본이 중국 중심의 책봉 체제에서 벗어나 대등한 외교 관계를 추구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당시 수는 고구려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고, 배후의 일본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었다. 遣隋使일본어 파견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다.4. 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요메이 천황 |
어머니 | 穴穂部間人皇女|아나호베노 하시히토 황녀일본어 |
처 | 자녀 |
비다쓰 천황과 스이코 천황의 딸 우지노 카이타코 황녀(菟道貝蛸皇女) | |
오와리 왕자의 딸 다치바나노 오이라쓰메(橘大郎女) | |
소가노 우마코와 모노노베 씨 부인의 딸 토지코노 이라쓰메(刀自古郎女) | |
카와시데노 이라쓰메(膳大郎女) |
5. 전설
쇼토쿠 태자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부처를 존경하여 여러 일화와 전설을 남겼다.
《쇼토쿠 태자 전력》이나 《부상략기》에 따르면, 쇼토쿠 태자는 스이코 천황 4년(598년) 4월에 여러 나라에서 준마를 바치게 했는데, 이때 바쳐진 수백 마리의 말 가운데 가이국에서 바친 몸이 흰 흑구(黒駒)를 보고 신의 말임을 간파하여 도네리(舎人)를 시켜 기르게 했다. 그해 9월에 태자가 이 말에 오르자 말은 하늘 높이 뛰어올라서 태자와 도네리를 태우고 도고쿠(東國)까지 가서 후지 산을 넘어 시나노국까지 이르렀으며, 사흘 만에 수도로 돌아왔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보리달마(Bodhidharma)가 일본에 왔을 때, 굶주린 거지로 변장한 채 쇼토쿠 태자를 만났다고 한다. 태자는 거지에게 신분을 밝히라고 요청했지만, 그 남자는 대답하지 않았다. 쇼토쿠 태자는 그에게 음식과 음료를 주고 자색 옷으로 덮어주며 "평화롭게 누워 있으라"고 말했다. 그런 다음 쇼토쿠 태자는 굶주린 남자를 위해 노래를 불렀다.
슬프다!
길 잃은 나그네가 누워
쌀을 굶주리고 있구나
가타오카 언덕 위에서
(햇살 아래)
너는 되어버렸구나
고아로서?
주인이 없느냐
대나무처럼 무성하게 자라는?
슬프다!
길 잃은 나그네가 누워
쌀을 굶주리고 있구나!
이튿날, 쇼토쿠 태자는 사자를 보내 굶주린 남자를 찾았지만, 이미 죽어 있었다. 이에 태자는 매우 슬퍼하며 그의 매장을 명령했다. 쇼토쿠 태자는 그 남자가 보통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다시 사자를 보내 확인시켰고, 땅이 파헤쳐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덤을 열자 안에는 시신이 없었고, 태자의 자색 옷이 관 위에 접혀 있었다. 태자는 다시 사자를 보내 옷을 가져오게 했고, 이전처럼 계속해서 그 옷을 입었다. 경외심에 압도된 사람들은 태자를 칭찬했다. "참으로 성인은 성인을 안다는 것이 사실이다."[15] 이 전설은 지하에서 석탑이 발견된 나라현 오지의 다루마사 사찰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매우 드문 일이다.
쇼토쿠 태자는 마구간 앞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16] 또한 10명이 넘는 사람들의 말을 동시에 알아듣고 정확한 대답을 했다는 일화에서 '도요토미미(좋은 귀)'라는 칭호를 얻었다고 한다.
《일본서기》에는 “겸지미연(兼ねて未然を知ろしめす, 兼ねて未だ然らざるを知ろしめす)”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은 후세에 미래기(성덕태자에 의한 예언)의 존재가 소문나는 한 원인이 되었다. 《평가물어》 제8권에 “성덕태자의 미래기에도, 오늘 일이야말로 신기하구나”라고 적혀 있다. 또한 《태평기》 제6권 “정성 천왕사의 미래기 열람의 일”에는 楠木正成이 미래기를 직접 보고 고다이고 천황의 복위와 그 친정을 읽어내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에서도 미래기라는 이름이 당시에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미래기》의 실재 여부는 불분명하다.
6. 연고가 있는 사원
- 시텐노지(四天王寺)
:오사카시에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소가 씨와 모노노베 씨의 전투에서 소가 씨 편이었던 쇼토쿠 태자는 승리하면 사천왕을 모시는 사찰을 짓겠다고 맹세했다. 전투에서 승리한 후, 셋쓰국 나니와에 이 절을 세웠다고 한다. 창건 시기는 《일본서기》에 따르면 593년(스이코 천황 원년)이다. 이 절에는 쇼토쿠 태자가 찼던 칼인 칠성검(七星剣)과 병자숙림검(丙子椒林剣)이 현재까지 보관되어 있다.
- 호류지(法隆寺, 이카루가데라斑鳩寺)
:나라현 이코마군(生駒郡) 이카루가정(斑鳩町)에 있다. 금당(金堂)에 모셔진 약사여래상(薬師如来像)의 광배(光背) 명문에 따르면, 요메이 천황이 자신의 병을 낫게 하고자 건립을 발원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었고, 그 유지를 이어받은 스이코 천황과 쇼토쿠 태자가 607년(스이코 천황 15년)에 이 절과 약사상을 지었다고 한다. 《일본서기》 덴지 천황 9년(670년)조에 호류지가 전소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기록을 놓고 현존하는 호류지(서원가람西院伽藍)가 쇼토쿠 태자 시대의 것인지 아니면 덴지 천황 이후 재건된 것인지를 놓고 논쟁이 있었다(호류지 재건 비재건 논쟁). 와카쿠사가람(若草伽藍) 발굴 조사를 통해 쇼토쿠 태자 시대의 가람은 소실되었고 현존하는 것은 7세기 말엽에 재건되었음이 정설이 되었다. 호류지 안에서 '몽전(夢殿)'을 중심으로 한 동원가람(東院伽藍)은 태자가 살았던 이카루가노미야 옛 터에 지어졌다.

- 이카루가데라(斑鳩寺, 하리마 소재)
:효고현 이보군(揖保郡) 다이시정(太子町)에 있다. 쇼토쿠 태자가 스이코 천황에게 받은 하리마국(播磨國) 이보 군의 땅을 '조장(鵤荘)'이라 이름 짓고 이 절을 세워 호류지에 기증한 것이 이카루가데라의 시작으로 전해진다. 창건 후 한동안 호류지의 별원(別院, 지원支院)으로 기능했으나 소실되고, 재건된 뒤에는 천태종으로 종파를 바꾸었다. 오늘날까지 이카루가데라는 '태자님(お太子さん)'이라 불리는 신앙의 대상으로, 흔히 '쇼토쿠 태자의 지구의(地球儀)'라 불리는 '지슈세키(地中石)'가 절에 전해지고 있다.
7. 묘소
쇼토쿠 태자의 묘소는 지금의 일본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다이시정에 있는 에이후쿠지의 「에이후쿠지 기타 고분(叡福寺北古墳)」이 궁내청에 의해 쇼토쿠 태자의 능으로 비정되고 있다. '시나가류(磯長陵)'라고도 불리며, 《일본서기》에는 시나가류(磯長陵)로 되어 있으나 시나가묘(磯長墓)로도 불린다. 아나호베노하시히토 황녀와 가시와데노 호키기미노 이라쓰메를 합장한 삼골일묘(三骨一廟)이다.[36]
무덤은 궁내청에 의해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다이시정의 에이후쿠지 경내에 있는 '''이소나가 무덤'''(磯長墓)으로 지정되어 있다. 유적 명칭은 "叡福寺北古墳"이며, 원분(円墳)이다.
직경 약 55m의 원형 고분이다. 봉분의 주위는 「결계석(結界石)」이라 불리는 돌들이 이중으로 둘러쳐져 있다. 2002년에 결계석 보존을 위해서 궁내청 서릉부에 의해 정비되는 와중에 봉분의 흔적이 세 곳이 발굴되었다. 2002년 11월 14일, 일본 고고학과 역사학 학회 대표 외에 조사 상황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는데, 봉분 직경이 55미터를 밑돌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8. 저작
- 삼경의소(三經義疏) : 법화경, 승만경, 유마경의 주석서이다. 쇼토쿠 태자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으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 중 법화의소(法華義疏)는 쇼토쿠 태자의 친필로 전해지는 것이 현존하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61]
- 사천왕사연기(四天王寺縁起) : 시텐노지에 쇼토쿠 태자의 친필로 전해지는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헤이안 시대 중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61]
- 17개조 헌법 : 일본서기 스이코 천황 12년(604년)조 기사에 전문(全文)이 처음으로 인용되어 있다. 상궁성덕법왕제설(上宮聖德法王帝說)에는 을축년(스이코 천황 13년, 605년) 7월에 「17여 법」을 제정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천황기(天皇記), 국기(國記), 신련반조국조백팔십부병공민등본기(臣連伴造國造百八十部幷公民等本記) : 일본서기에 책 이름이 실려 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 선대구사본기(先代旧事本紀) : 책의 서문(序文)에 쇼토쿠 태자와 소가노 우마코가 함께 지었다고 적혀 있지만, 실제로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 미래기(未來記) : 특정 서적이 아니라 쇼토쿠 태자의 이름을 빌린 《미래기》를 칭한 일련의 위서들이 가마쿠라 시대에 빈번히 등장한다.[61]

9. 태자 신앙
쇼토쿠 태자는 일본 불교의 시조로 추앙받으며, '본조(일본)의 석가'라고도 불렸다.[37] 가마쿠라 시대에는 그를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보는 신앙이 널리 퍼졌다.[38]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그의 기일(2월 22일)을 '태자강(太子講)'의 날로 정하여 목공, 건축가들 사이에서 법회가 열렸다.[39] 이는 시텐노지나 호류지 등 대규모 건축에 태자가 관련 직종을 제정했다는 설에 근거하여 태자를 건축과 목공의 수호신으로 숭배하게 된 것을 계기로 한다. 에도 시대에는 목수 외에도 미장이나 대장장이 등 여러 직종의 장인 집단으로부터 태자강 법회가 활발히 열렸다.
현재 일본 각지의 사원에는 태자 자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태자상을 모신 태자당이 남아 있다.[37] 쇼토쿠 태자를 '본존'으로 행하는 법회는 '태자회(太子會)'라 불리며, 쇼토쿠 태자를 개조(開祖)로 하는 불교 종파의 하나로서 호류지를 본산(本山)으로 하는 성덕종이 현재까지 일본에 존재하고 있다.
10. 후세의 평가 및 논란
쇼토쿠 태자는 일본 고대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지만, 그의 실체와 업적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1999년 일본 사학자 오야마 세이치는 "'쇼토쿠 태자'의 탄생"이라는 저서를 통해, 일본서기에 기록된 쇼토쿠 태자의 업적 대부분이 후지와라노 후히토 등 당시 권력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허구라고 주장했다.[53][54] 오야마는 우마야도 왕이라는 실존 인물의 존재 가능성은 부정하지 않지만, 스이코 천황의 섭정으로서 수많은 업적을 남긴 '쇼토쿠 태자'는 창작된 인물이라고 보았다. 그는 쇼토쿠 태자에 대한 사료를 《일본서기》의 17개조 헌법과 호류지의 「호류지 약사상 광배 명문, 호류지 석가삼존상 광배 명문, 천수국수장, 삼경의소」의 두 가지 계통으로 분류하고, 이들 모두 우마야도 왕자보다 훨씬 후대에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니토 아쓰시는 초기 태자 신앙이 확인된다는 점을 들어 호류지 계통의 사료를 부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비판했다. 도야마 미쓰오는 우마야도 왕자가 정치적 발언권이 없는 왕족이었다는 오야마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우마야도 왕자는 실재했으며 유력한 왕족이었다고 반박했다.[55]
쇼토쿠 태자 허구설에 대한 반론으로는 나오키 고지로, 우에다 마사아키, 우에하라 가즈, 다나카 히데미치, 모리타 데이 등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오야마는 2009년 "지금까지 충분한 학술적 반론은 없다"고 언급하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쇼토쿠 태자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자료로는 『일본서기』, 『고사기』, 『삼경의소』, 『상궁성덕법왕제설』, 천수국수장, 호류지 약사상 및 석가삼존상 광배 명문과 좌대 안 묵서, 도후탕강비 명문, 법기사탑로반명, 『하리마 국 풍토기』, 『상궁기』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우마야도 왕자 생전보다 훨씬 후대, 혹은 일본서기 성립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고 있다.
결론적으로, 쇼토쿠 태자에 대한 평가는 그의 업적과 관련된 역사적 자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10. 1.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쇼토쿠 태자는 한반도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그의 불교 장려 정책은 고구려와 백제와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595년에는 고구려 승려 혜자와 백제 승려 혜총이 일본으로 건너왔으며, 혜자는 쇼토쿠 태자에게 《법화경》을 가르치고 불교 전파에 힘썼다.[57][58] 쇼토쿠 태자는 혜자를 스승으로 삼아 불교를 배우고, 고구려 기술자들을 초청하여 598년에 호류사를 건립하기도 했다.그러나 쇼토쿠 태자는 600년과 602년에 신라를 공격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기도 했다.[53][54] 비록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한반도 국가들과의 갈등을 야기한 측면도 있다. 특히 602년 신라 공격 시도에는 친동생 구메 황자가 장군으로 임명되어 2만 5천의 군사를 지쿠시에 집결시켰으나, 출병 준비 과정에서 구메 황자가 사망하면서 공격이 중단되었다. 일설에는 신라의 자객에게 암살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처럼 쇼토쿠 태자에 대한 평가는 그의 업적과 한계, 그리고 한반도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의 불교 진흥 정책은 한반도 국가들과의 문화 교류에 기여했지만, 신라 공격 시도는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Painting in the Far East: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Pictorial Art in Asia, Especially China and Japan
https://books.google[...]
Elibron
[2]
서적
A History of Japan
Charles E. Tuttle Co.
[3]
웹사이트
Patron kings
https://web.archive.[...]
Khyentse foundation
2010-03-01
[4]
서적
Shōtoku: ethnicity, ritual, and violence in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
뉴스
Turtle-shaped stonework at Osaka temple dates to 7th century: study
https://mainichi.jp/[...]
2019-04-27
[6]
서적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7]
웹사이트
Japan's oldest company defies time with merit-based succession
https://asia.nikkei.[...]
2020-12-31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2007-04-03
[9]
간행물
教育提言:私が伝えたい天皇・皇室のこと
[10]
서적
A History of Japanese religion
Kosei
2007
[11]
서적
Jinnō Shōtōki
[12]
서적
Japanese Culture: A Short History
[13]
백과사전
遣隋使
https://web.archive.[...]
2017-05-08
[14]
학술지
The Divine Boy in Japanese Art
[15]
학술지
The Prince and the Pauper. The Dynamics of a Shōtoku Legend
https://www.jstor.or[...]
1985
[16]
웹사이트
Shotoku taishi
http://www.answers.c[...]
[17]
웹사이트
Bhavya, Bhāvya: 22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7-02-17
[18]
웹사이트
Security Features of Bank of Japan Notes
https://www.boj.or.j[...]
[19]
백과사전
聖徳太子
[20]
서적
聖徳太子信仰とは何か
勉誠出版
[21]
학술지
元興寺伽藍縁起并流記資財帳の研究
筑波大学哲学・思想学系
[22]
학술지
梁簡文帝立太子前夜--南朝皇太子の歴史的位置に関する一考察--
https://www.jstage.j[...]
[23]
블로그
「上宮」という名の由来
https://blog.goo.ne.[...]
2023-12-06
[24]
서적
推古朝の『片岡』・馬見丘陵と王権の基盤--奈良県馬見丘陵の飛鳥時代--
同成社
[25]
학술지
豊聡耳命の御名由来譚について
[26]
서적
日本書紀
[27]
서적
日本古典文学大系 風土記
岩波書店
[28]
서적
九州地方の軍事と交通
吉川弘文館
[29]
서적
道と路がわかる辞典
日本実業出版社
2001-11-10
[30]
서적
蘇我氏 古代豪族の興亡
中央公論新社
[31]
웹사이트
南無仏太子立像
https://www.narahaku[...]
奈良国立博物館
2020-12-04
[32]
블로그
中世の聖徳太子のイメージは「未来記」を残した予言者:小峯和明『予言文学の語る中世』
https://blog.goo.ne.[...]
[33]
서적
聖徳太子時空超越―歴史を動かした慧思後身説
大修館書店
[34]
서적
箸の文化史 世界の箸・日本の箸
御茶の水書房
[35]
서적
聖徳太子伝
丙午出版社
[36]
뉴스
聖徳太子墓はやや小さめ 宮内庁が研究者に公開
共同通信
2002-11-14
[37]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38]
서적
和讃に学ぶ:正像末和讃
[39]
간행물
特定の職業・人に信仰される神々
法藏館
2005
[40]
서적
親鸞和讃集
[41]
서적
親鸞和讃集
[42]
서적
和讃に学ぶ:正像末和讃
[43]
간행물
近世公家社会における葬送儀礼
2008
[44]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45]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46]
웹사이트
「安倍政権は天文学的な金額の利権を求めて紙幣の刷新を決めた」Twitterでデマ広がる(篠原修司)
https://news.yahoo.c[...]
2019-04-10
[47]
서적
綜合日本史插画解説
https://dl.ndl.go.jp[...]
中文館書店
1934
[48]
웹사이트
「何で一気にしゃべるの!?」聖徳太子の内心を歌う水曜日のカンパネラ新曲
https://natalie.mu/m[...]
2023-09-07
[49]
웹사이트
まんが日本史: 感想(評価/レビュー)[アニメ]
https://sakuhindb.co[...]
2024-10-10
[50]
웹사이트
明石家さんま、4年ぶり主演舞台へ シリーズ初参加の松尾貴史、演出の水田伸生とともに語った舞台『斑鳩の王子』見どころとは
https://spice.eplus.[...]
イープラス
2024-02-20
[51]
서적
모노가타리에서 하이쿠까지(일본문화총서 3)
글로세움
2003
[52]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53]
서적
만요슈
살림
2005
[54]
서적
모노가타리에서 하이쿠까지(일본문화총서 3)
글로세움
2003
[55]
서적
일본 여성(성과 사랑, 삶의 역사)
시그마북스
2008
[56]
서적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3
김영사
2004
[57]
서적
일제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58]
서적
한국인의 주거문화1
신원문화사
2000
[59]
서적
한국인의 주거문화1
신원문화사
2000
[60]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61]
논문
쇼토쿠 태자 5헌법
167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